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부동산투자
- 빌라건축
- 재건축
- 분양가상한제
- 서울아파트값
- 서울집값
- 아파트값
- 테르바움
- 아파트전세
- 한빛알앤씨
- 집값
- 재개발
- 다세대주택
- 부동산
- 보유세
- 속초부동산
- 은마아파트
- 등촌동빌라재건축
- 부동산시장
- 부동산규제
- 내집마련
- 아파트
- 오피스텔
- 서울아파트
- 부동산대책
- 등촌동빌라
- 빌라재건축
- 닥터빌드
- 아파트분양
- 3기신도시
- Today
- Total
H군의 부동산 이야기
줄어가는 마포구 아파트 전세거래 본문
주택임대차보호법(임대차법) 개정 후폭풍으로 빚어진 전국적인 전세 파동 앞에 경제정책 수장인 경제부총리 역시 예외가 아니라고 하는데요. 홍남기 기획재정부 장관도 2021년 1월 지금 살고 있는 서울 마포구 아파트 전세집의 계약이 만료된다고 합니다. 현재 만료를 앞두고 새 전세집을 알아봐야 할 처지인 홍장관은 정부·여당이 야심 차게 추진해온 임대차법 개정의 유탄을 직접 맞게 된 격입니다.
지난 3월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공개한 관보에 따르면 홍 부총리 가족은 서울 마포구 염리동의 공급면적 84.86㎡(25평) 아파트에 전세로 살고 있습니다. 홍 부총리 가족은 지난해 초부터 홍 부총리 아내 명의로 보증금 6억3000만원에 이 아파트에 살고 있다. 앞서 홍 부총리는 ‘다주택’ 논란이 불거지자 지난 8월 초 경기도 의왕 아파트를 팔았습니다. 현재 사는 마포 아파트 전세 계약 만료 넉 달을 앞두고 최근 집주인 측이 홍 부총리 가족에게 실거주 의사를 밝혔는데요. 개정 임대차법에 따르면 집주인 및 직계 존속이 실거주할 경우 임차인은 집을 비워줘야 합니다.
새로운 전셋집을 알아봐야 할 처지가 됐지만, 지금 전세를 구하기가 너무나도 어렵습니다. 현재 홍 부총리가 사는 아파트 단지 내 전세가는 8억3000만~9억원 사이로 껑충 뛰었습니다. 홍 부총리가 사는 아파트는 1000가구 가까이 되는 대단지이지만 7일 현재 전세 매물은 고작 3개뿐입니다. 불과 지난달까지만 해도 일부 매물이 6억5000만원에 거래되기도 했지만, 매물이 씨가 마르면서 호가가 치솟은 상황입니다.
홍 부총리 가족이 집주인에게 돌려받을 전세보증금으로는 인근에서 갈 수 있는 전셋집이 거의 없습니다. 홍 부총리 거주지 인근 단지별로도 전세 매물은 고작 1~2개 수준이거나 전셋값이 턱없이 높은 실정인데요. 염리동의 한 공인중개사는 “임대차법 이후로 계약 갱신을 할 수 있으니 전세 물건이 안 나온다며 이 일대에서 7억원 이하 전세 매물은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실제 전세를 찾는 사람은 여전히 많은데 매물이 없으니까 (집주인이) 부르는 게 값”이라고 분위기를 전했습니다.
전세 매물이 줄면서 거래 감소세도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서울 부동산광장에 따르면 마포구의 전세 거래는 지난 6, 7월만 해도 각각 462건, 416건이었지만 임대차법 시행 이후인 8, 9월에는 각각 327건, 253건으로 계속 줄었습니다. 서울의 다른 지역에 있는 한 공인중개사는 “보통 8월 하순부터 2학기 시작 전에 전세 수요가 많아지는데 올해는 임대차법 영향으로 거래가 줄어 동료 공인중개사들도 쉬는 분위기”라고 말했습니다.
문제는 이런 전세 파동이 서울만의 이야기가 아니라는 점입니다. 최근 감정원이 발표한 전국 주택가격 동향조사를 보면 지난달 월간 주택종합 전셋값 상승 폭은 수도권(0.65%)뿐만 아니라 지방(0.41%)도 덩달아 증가했습니다. 특히 지난달 5.69% 치솟은 세종에서도 전세 파동의 여파가 여기저기서 터져 나왔습니다.
세종시에 사는 40대 직장인 이모씨는 최근 보증금 3억1000만원짜리 전세가 나오자 부랴부랴 부동산으로 달려가 바로 계약했습니다. 이씨는 현재 같은 동네에 있는 아파트에서 보증금 2억원에 전세를 살고 있는데 “이 집이라도 들어갈 수 있어서 다행”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씨 역시 정부의 부동산 규제 직격타를 맞았습니다. 정부의 다주택자 규제가 강화되자 기존 집주인이 집을 팔았고, 새 집주인이 전세 계약 만료 이후 실거주 의사를 밝혔습니다. 그러나 매물은 없었고, 나오는 가격은 억 단위로 뛰었습니다. 이씨는 “초등학교 저학년인 아이들을 생각하면 멀리 이사 갈 수도 없어 보증금 부담을 지더라도 서둘러 계약할 수밖에 없었다”며 “오죽하면 우리 부부는 물론 장모님 적금까지 깨서 보증금을 대야 했다”고 분통을 터뜨렸습니다.
세종의 한 공인중개사는 “세종에 사는 세입자 상당수는 전셋값이 오르기 전 싼 가격으로 들어왔기 때문에 더더욱 요즘 같은 전셋값 폭등 상황에서 안 나가려고 할 것”이라며 “집주인의 실거주 때문에 불가피하게 나가는 사람들만 불쌍하게 됐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최근에도 새로 방을 구하러 온 공무원들이 있었는데 매물이 없고 비싸니까 결국 세종 밖으로 나가더라”고 분위기를 전했습니다.
'부동산실무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혼부부 특별공급 소득기준 완화! (0) | 2020.10.20 |
---|---|
임대차법 이후 전세난 어떻게 해결할까? (0) | 2020.10.14 |
상임법 일부 개정법률안 통과로 인한 변화 (0) | 2020.10.05 |
개정된 임대차법 집주인은 울분 (0) | 2020.09.25 |
주택청약 규제지역vs비규제지역 쏠림현상 우려 (0) | 2020.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