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내집마련
- 빌라건축
- 보유세
- 부동산대책
- 부동산시장
- 아파트전세
- 재건축
- 닥터빌드
- 등촌동빌라재건축
- 재개발
- 부동산규제
- 빌라재건축
- 아파트분양
- 3기신도시
- 한빛알앤씨
- 등촌동빌라
- 분양가상한제
- 아파트
- 서울아파트
- 부동산투자
- 테르바움
- 속초부동산
- 아파트값
- 서울아파트값
- 오피스텔
- 다세대주택
- 집값
- 부동산
- 은마아파트
- 서울집값
- Today
- Total
H군의 부동산 이야기
신혼집 마련 어려움으로 결혼 못하는 1인가구 청년 본문
흔히 가족 = 4인이 떠오르나요?
이거 참으로 철지난 이야기입니다.
의외로 2019년 현재 1인 가구 비중이 전체 가구 유형의 28%로 가장 많습니다. 깜짝 놀라셨죠? 뉴스를 읽은 저 역시 그런 기분이었는데... 그 중심에는 결혼 안 한 '청년'이 있습니다. 신혼집 마련이 어려워서 결혼을 못하는 1인가구이지요.
흔히 이야기하는 결혼 적령기 청년
2명 중 1명은 '미혼'이며 걸림돌은 '집'입니다.
2017년 기준 초혼 나이는 남성이 32.94세, 여성은 30.24세로 파악됐습니다. 이거는 물론 만나이이며, 한국나이로 계산을 하면 남자는 35세 / 여자는 32세로 보면 됩니다. 30~35세를 결혼 적령기로 잡으면 됩니다. 문제는 이 나이 청년 가운데 무려 46.9%, 2명 중 1명이 결혼하지 않았습니다. 20년 전 미혼율, 13.2%와 비교하면 3배 이상 급증한 것이지요.
물론 요즘 청년들에게 결혼은 선택의 문제일 수 있습니다. 미혼이 아닌 '비혼'이라는 말도 생겨났죠. 그러나 하고 싶어도 하지 못하는 청년도 많습니다. 그 이유를 물었더니 68.5%가 '주거 문제'라고 답했습니다. 즉 신혼집 마련이 문제이지요.
10년 모아야 전세금 마련!
대체 집이 뭔데 결혼마저 주저하게 할까요? 만 19세~39세의 청년들이 소유한 주택의 평균 가격을 보면... 10년 새것의 두 배 올랐습니다. 더 좋은 집으로 옮겨 갔다기보다는 집값 상승의 흐름이 그대로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2017년 기준 내 집 마련 비용은 평균 2억원입니다. 물론 이것은 전국 평균입니다. 이게 어떤 의미일까요? 같은 해, 대기업의 대졸 신입 평균 연봉은 3,950만 원, 중소기업의 대졸 신입 연봉은 2,690만 원이었습니다. 중소기업을 다니는 청년은 안 쓰고 안 먹고 최하 7년을 꼬박 모아야 겨우 마련할 수 있는 게 '집'이었습니다.
"결혼하려면 월 300~400만 원 벌어야!"
최근 발간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고서에 의하면 "결혼을 한다면 적정한 소득은 얼마인가?"라는 질문에 남성은 월평균 300만~400만 원, 여성은 200~300만 원은 되어야 한다고 응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습니다. 비교적 높은 눈높이임을 알 수 있습니다. 결혼이 왜 어려운지 월 급여만 봐도 알 수 있습니다. 1인가구.. 즉 혼자라면 좁아도, 낡아도 버티겠는데 사랑하는 사람과의 새 출발을 생각하면 망설여집니다. 이것저것 따져봐도 별수 없습니다.
사는 곳(Buy)이 아닌 사는 곳(Live)이 필요합니다
정부도 이런 상황을 잘 알고 있을 것입니다. 그동안 저소득, 고령자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이뤄졌던 주거 정책에 최근 청년층이 포함됐습니다. 임대주택 30만 호 공급, 우대형 청약 통장, 보증금 및 월세 대출 확대를 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부족합니다. 주택 공급은 소득이 적은 저소득 청년에게 주로 맞춰져 있고, '보통 청년'이 이용할 수 있는 제도는 대출 정책이 주류입니다. 시작과 동시에 빚더미에 앉으라는 이야기입니다. 이미 대학 학자금 융자로 그 고생을 했는데...
몇몇 언론에서나온 표현인데 요즘 집 없는 청년을 '민달팽이'에 빗댑니다. 청년들의 주거권 보장을 위해 탄생한 '민달팽이유니온'의 조현준 사무처장이 쓴 글 일부를 옮겨 봅니다.
... 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넓고 화려한 대규모 아파트 단지도, 깨끗하고 잘 정비된 신도시도 아니다. 사는 집의 임대인이 무리하게 월세를 올리지 않기 바랄 뿐이다. 작은 공간을 벗어날 소정의 목돈이 필요할 뿐이다. 비어있는 정책을 단순히 채워 나가는 것이 아닌, 그것을 '왜'하는 것인지에 대한 이유를 찾는 것이 더 중요하다.
최근 저의 지인이 3천만원을 들고 방 1개짜리 전세를 찾는데.. 서울에 아무리 봐도 찾기가 어려웠습니다. 반지하로 가자니 여자의 상황에 너무 힘들고, 고지대로 가자니 출퇴근이 힘들고... 그래서 안양 / 부천으로 눈높이를 낮췄습니다. 3천만원이 과연 적은 돈인가요? 물론 월세로 가면 서울의 어딘가에 자리를 잡을 수 있겠으나...
1인가구 문제의 접근은 청년주택과 맞물리며 번듯한 APT가 아닙니다. 방 1 ~ 2칸짜리를 요하는 청년이 많아진 것입니다. 아이없이 살거나 낳아도 1명... 과연 3 ~ 4개짜리 방이 있는 집이 무슨 소용일까요?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합니다.
'부동산실무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30년 후 서울 인구 15% 감소 집값은 어떻게 될까? (1) | 2019.06.30 |
---|---|
노후 상수도관 도시 인프라 그리고 부동산 가격 (0) | 2019.06.26 |
서울 핫플레이스 로데오거리 가로수길 시들해진 이유 (0) | 2019.06.21 |
주택담보대출 기준금리 인하 소식 (1) | 2019.06.19 |
부동산 규제 이젠 해외 부동산 투자? (0) | 2019.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