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부동산실무이야기 (247)
H군의 부동산 이야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SftXf/btqw2l50kvB/CtkgKSOShkVRkYNb7S8Y01/img.jpg)
2기 신도시 집값이 휘청이는 이유 교통 악재 개발 호재로 꼽히던 교통망 구축이 지연되면서 2기 신도시 주변 지역 주택 시장이 요동치고 있습니다. 김포... 한강신도시에는 지인들도 많이사는데, 또한 검단 지역이 특히 그래요. 경기도 김포시민들로 구성된 한강신도시총연합회는 최근 도시철도 정상 개통을 요구하는 항의 집회를 열었다고 합니다. 김포시 주민들은 도시철도가 두 차례 연기되자 철도 개통 지연에 따른 책임과 보상 등을 요구하며 단체 행동에 나선 것인데, 이니 APT 분양가에 포함된 공공교통이 지연되자 실력행사를 보이는거에요. 7월 27일 개통이 예정됐던 김포도시철도는 김포한강신도시와 김포공항을 잇는 23.671㎞ 길이의 경량전철입니다. 수년간 김포한강신도시 주민들의 서울 출퇴근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bFRe0/btqwVSYCDNI/sSdQcVLDsxP4JEighF1GMK/img.jpg)
일단 용어먼저 설명드립니다. 낙후된 구도심 지역이 활성화되어 중산층 이상의 계층이 유입됨으로써 기존의 저소득층 원주민을 대체하는 현상을 가리킵니다. 도시의 사회학적 개념입니다. 보편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특정 도로변에 아기자기한 상점이 많아지면 이를 촬영하고자 많은 블로거, 유튜버, 인스타그래머들이 와서 SNS에 올립니다. 그래서 유명세를 타고, 부동산 값이 오르지요. 그런데 그 자리를 대형 프랜차이즈매장이 대체를 합니다. 그러면 이후에 가야할 이유가 안생기는 것이지요. 그러면 공실이 늘어나게 되고, 부동산가격은 하락하는 현상이 벌어집니다. 이해가 되시죠? ○○리단길이라고 많이 들어보셨을꺼에요. 서울 용산구에 있는 경리단길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게 확장되서 망리단길, 송리단길 등이 나온 것이구요. 서울 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H4bY1/btqwVgeET4t/LhvHHuZRF7cXdkESpjUGN1/img.jpg)
한국은행이 7. 17일 기준금리를 연 1.5%로 인하하면서 큰 관심을 모으도 있습니다. 안정세를 유지하던 부동산 시장에 대한 관심이 아직은 높고, 부동자금은 도대체 갈 곳을 잃고 있는 상황입니다. 일반적인 경우 금리가 낮아지면 투자처를 부동산으로 가게 마련이지만 9·13 부동산 대책의 약발이 여전하고 분양가 상한제라는 강력한 카드까지 예고된 상황이어서 시장이 예전처럼 요동치진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합니다. 올해 상반기 전국의 주택 거래량은 1년 전보다 30% 가까이 줄었습니다. 빙하기라는 표현이 잘 맞죠. 특히 전 지역을 투기지역으로 묶어버린 서울의 경우 무려 절반 이상이나 급감했습니다. 그런데 금리 하락으로 이자 부담이 줄면 부동산 거래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역설이 어디 있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F0f9/btqwIMjuJjT/Gke5Pbm1YTBi83d5AkUFRk/img.jpg)
서울 아파트 분양가 상한제 의지 어떻게될까요? 요즘 서울지역 아파트 가격이 오르고 있다는 소식이 들리고 있습니다. 작년 913 이후 소강상태였는데, 불과 10달만에 다시 오른다는 이야기에 정부가 분양가 상한제 의지를 보이고 있습니다. 참고로 이게 뭔가 하냐면 말 그대로 1평(3.3제곱미터)당 분양가에 제한을 둔다는 뜻입니다. 이렇게 되면 분양을 받는 사람은 저렴한 가격에 APT에 들어가서 좋긴 하겠지만, 시행사측에서는 이익이 없죠. 즉 사업성이 떨어져서 APT 재건축이 이뤄지지 않습니다. 재건축을 위한 조합원들이 이사의 불편을 겪으며 순순히 사업을 하자고 할리도 없는 것입니다. 실제로 보도자료를 보니까 정부가 민간 아파트까지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하겠다는 의지를 밝히면서 주택 건설·시행사들이 큰 혼란에 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B4AMb/btqwExOfWSB/nzGmmU8UKdKvT4q7NgQ3B1/img.jpg)
자사고 취소 강남 집값 상승 영향은? 말도 많은 전북 상산고의 자사고 취소 사태에 이어서 수도 서울에서도 13곳 중 8곳이 무더기로 지정 취소되었습니다. 참고로 자율형사립고는 우수학생들을 휩쓸어가서 속칭 SKY로 불리는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학교 학생들이 이곳 출신인것을 알 수 있습니다. 기존 보수 정부에서 강남 쏠림을 막고, 수준별(?) 교육을 장려하면서 탄생했지요. 나름 장점이 교육의 균형발전을 이룬 것도 있습니다. 반면에 일반계 고등학교의 수준이 많이 떨어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자사고 외에도 과학고, 외국어고등학교로 우수학생들이 대거 몰리니, 보통 고교에서 SKY에 들어가기는 하늘의 별따기였지요. 서울에 있는 고교에서도 30명 한반에 서울시내에 있는 대학에 5명 정도 들어가는게 고작이니 말다했어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5CgHE/btqwA3sR1CM/uxlFGmSSsiKY0ZfNBh6D6K/img.jpg)
인천 검단신도시와 비교를 해서 소식을 전해드리겠습니다. 모두 인천광역시 관할이고요. 제가 2지역 모두 관련이 깊습니다. 먼저 검단 신도시 문제인데요... 2기 신도시로써 마지막 분양중인데, 요즘 미달입니다. 게다가 검단 주민들의 시위가 요즘 계속 뉴스에 등장했죠? 저도 이곳에 가보았지만 교통이 매우 불편합니다. 그런데 아파트가 먼저 건설되니까 기대하고 들어온 입주민들이 반발을 한 것이지요. 제가 검단 분양 마케팅을 담당했었는데, 3기 신도시 건설(부천 대장동)이 발표되고 나니까 허탈하더군요. 참고로 작년여름까지만 해도 분양 경쟁률이 대단했습니다. 그러나 913 이후 완전히 가라앉았는데, 바로 오늘 글의 주제인 계양테크노밸리 3기 신도시 때문입니다. 입지가 훨씬 좋거든요? 여기서의 입지란 인천 도심도 그렇..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FDc3g/btqwzy5P1QR/58rXkKJovGTT8Pcn1daQt1/img.jpg)
서울 수도권 단독주택 가격 상승 이유 서울 수도권 APT값이 오르네 내리에 말이 많아요. 작년 폭등 이후 올해는 내릴 것처럼 보였지만 막상보니까 저렴하다고 보였던 급매물이 빠져나가니 거품이 사라지고 비싼 가격이 그대로라는 말이 있습니다. 2019년 들어서 더 오르지는 않았지만 떨어지지도 않았다. 안정화 되었다고 보여집니다. 이런 추세가 계속 되었으면 하는 기대를 갖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디에 부동산 투자를 해야하는가? 아파트를 갖고 있으면 오른다는 기대감이 있었는데, 그래서 은행대출을 받아서 구입을 했었는데, 이젠 대출도 막히고 미래도 불투명해서 돈이 갈 곳을 잃었다는 말이 나옵니다. 오죽하면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부동산으로 몰리겠습니까? 그런데 간과한 곳이 있습니다. 혹시 지방에 있는 부동산 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aJ9ff/btqwpUCVIL9/u0nWLFx6vU136H4LO1KNO0/img.jpg)
30년 후 서울 인구 15% 급감 전망… 집값 영향은? “부동산 쇼크 닥칠 것” VS “1, 2인가구 증가로 안 떨어져” 양쪽이 매우 팽팽한데... 사실은 알 사람은 안꺼 같아요. 개인적으로 저는 부동산 쇼크는 어림없고, 상승세 계속에 한표를 걸고싶습니다. 최근 발표된 통계청의 장래인구특별추계 결과 서울 인구가 30년 간 15%가량 급감하고 중위연령(2047년 55.3세)은 50대 중반으로 고령화될 거란 전망이 나오면서 서울 주택가격 향배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주택을 적극 매입할 연령층이 감소하는 만큼 집값 하락이 불가피하다는 예상이 있지만 한편으로 서울 밀집 심화나 1,2인 가구 증가를 들어 서울 집값은 떨어지지 않으리란 관측도 만만찮습니다. 세계의 어느 대도시도 폭락했다는 뉴스는 전혀 없는 상황이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Fz6mV/btqwmCVTfNG/OgacXe1Koh7XZ7ncLymtL1/img.jpg)
노후 상수도관 그리고 부동산 가격 지난 6월 30일 인천에서 시작된 ‘붉은 수돗물’ 사태가 서울, 경기지역으로 확산하고 있습니다. 인천 서구 및 영종도 등에서 발생한 이번 사태는 시민들의 즉각적인 삶에 큰 영향을 끼쳤지요. 여기에 서울에서도 수돗물 사태가 발생해서 화두가 되고 있습니다. 참고로 서울시는 문래동 붉은 수돗물의 근본 원인을 노후 상수도관으로 판단했고, 서울 전역의 노후 상수도관을 연내 교체하겠다며 민심 달래기에 들어갔습니다. 저는 이러한 사회 인프라 문제를 부동산과 결부시키고 싶습니다. 3기 신도시 건설에 따른 피해가 되려 1기 / 2기 신도시 입주민들에게 돌아가서 문제가 되었잖아요? 출퇴근을 비롯한 도로만 심각한게 결코 아닙니다. 먹고 살아가는 문제... 전기 그리고 수도 또한 같은 근본적..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wd8OO/btqwl6PR3C8/UoLR1KI4XnnQCd71K3J671/img.jpg)
흔히 가족 = 4인이 떠오르나요? 이거 참으로 철지난 이야기입니다. 의외로 2019년 현재 1인 가구 비중이 전체 가구 유형의 28%로 가장 많습니다. 깜짝 놀라셨죠? 뉴스를 읽은 저 역시 그런 기분이었는데... 그 중심에는 결혼 안 한 '청년'이 있습니다. 신혼집 마련이 어려워서 결혼을 못하는 1인가구이지요. 흔히 이야기하는 결혼 적령기 청년 2명 중 1명은 '미혼'이며 걸림돌은 '집'입니다. 2017년 기준 초혼 나이는 남성이 32.94세, 여성은 30.24세로 파악됐습니다. 이거는 물론 만나이이며, 한국나이로 계산을 하면 남자는 35세 / 여자는 32세로 보면 됩니다. 30~35세를 결혼 적령기로 잡으면 됩니다. 문제는 이 나이 청년 가운데 무려 46.9%, 2명 중 1명이 결혼하지 않았습니다.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