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부동산실무이야기 (247)
H군의 부동산 이야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Iz78a/btquC0C7ifl/y5bDF1gAgFKCVXm5egHUb1/img.jpg)
3기신도시 계양 때문에 2기 검단은 미분양 속출 얼마전에도 한번 언급을 했었는데 요즘 2기 검단 신도시 분양이 최악이라고 합니다. 바로 2018년 913 대책으로 탄생한 3기 신도시(검단 부근 계양) 때문인데요. 참고로 계양은 김포공항 바로 뒤에 위치해서 개발이 덜 되어있답니다 ^^ 제가 검단에서 우미린더퍼스트 분양을 맡고 있어서 당시 분위기를 잘 압니다. 때는 1월... 한창 추울때입니다. 그래도 나름 후끈했습니다. 신설역과 꽤 가까와서 역세권이라는 말을 들었거든요? 최종 경쟁률은 2.7대 1이어서 완판 성공! 담당자들과 함께 기쁨의 샴페인을 터뜨렸는데, 같이 분양했던 한신은 청약 2순위까지 합쳐서 간신히 분양을 완료 했었습니다. (미분양도 1개 있었어요) 문제는 2월부터인데... 3기 계양 신도시의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objrS/btquiwjzynf/Tc6KhvktjLxM004O1zaYf0/img.jpg)
일희일비하지 않는게 사는데에나 부동산 생활에서나 중요하기는 마찬가지로 보입니다. 물론 급등세 급락세가 있어서, 부동산 실물자산을 보유한 사람들이 가만히 있기 어렵지만, 쉽게 거래가 되는 물건은 결코 아니잖아요? 더불어서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 아파트 주택가격 전망을 보면 전문가들 대부분 상향에 대한 지지를 표합니다. 도대체 왜 그럴까요? 이는 통화량 및 인플레와 연결을 시켜서 보아도 무방할 것입니다. 일단 급등했던 서울 아파트 가격은 최근 다소 주춤한 상태입니다. 가끔 서울 일부 지역 아파트 가격이 고점 대비 몇 억원씩 떨어졌다는 기사도 나오지만 좀 더 자세히 들여다 보면 지난해 하반기 최고치를 기록한 시점 대비 하락한 것이지 2017년과 비교하면 여전히 50% 가까이 오른 곳이 많습니다. 게다가 급매를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wvL7N/btqufygBoYL/HxDkZpWrkEX0oLoPcDG1k1/img.jpg)
2기 신도시 마지막 분양으로 큰 인기를 누릴 것으로 보였던 인천 검단신도시 아파트의 분양 부진이 심각하네요. 위례, 동탄 등이 조기 마감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격세지감입니다. 관련 보도에 의하면 검단신도시 부동산시장이 미분양의 늪에 빠지고 있다고 합니다. 검단신도시가 속한 인천 서구에서는 지난 2월 미분양 아파트가 한달 새 2.5배 급증했어요. 핵심은 대중교통 여건이 부족한 데다 지난 913대책시 발표됐던 3기 신도시가 조성되는 것이 악영향을 미쳤다고 보입니다. 4. 8일 국토부에 따르면 인천의 미분양 아파트 물량은 지난 2월 1799가구로 1월(1357가구)보다 32.6% 늘었는데, 검단신도시를 포함함 인천 서구 미분양물량(739가구)이 인천시 전체 미분양 물량의 무료 40% 이상을 차지했다. 서구의 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v03SC/btqudsnsgIE/ePgmjl2DBad03pJ6ic8Kv1/img.jpg)
2019년 우리나라 부동산 환경은 2018년 9월 13일 전/후로 나뉩니다. 엄청난 변화가 있었지요. 2018년에 서울지역 APT라고 부르면 가격이 최하 1억이 올라버렸으니... 2 ~ 3억 상승한 곳도 상당수였구요. 이를 해결하기 위한 최종판이 913대책이었던 것입니다. 아시는 것처럼 이후 APT 등 주택거래는 급감했구요. 그렇다면 서울 아파트가격은 어떻게 되었을까요? 정부의 방침대로 하락한 것인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사실 타겟은 부동산 시장 안정화입니다. 그런데 거래 급감(이자율 상승, 대출조건 강화, 보유세 상승)이 이뤄져서 중개업계 및 관련업계에서는 심각한 상황이라고 합니다. 뭔가 문제가 있어 보입니다. 그런데 막상 2018년 당시로 가격 원위치(?)는 아닌 것 같고... 조사기관에 따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KPHLb/btqt6DbhRmx/JLp8Dk55H6985gtPTTzYA0/img.jpg)
반토막도 아니고 1/10토막이라는 말이 유행합니다. 실제로 아파트 거래량이 작년 동월 대비 정말로 1/10토막이 났거든요? 그가운데 일부는 부동산 급매물로 판단됩니다. 아파트 거래량 추이를 보면 2018년 9월 12,226건, 10월 10,096건, 11월 3,526건, 12월 2,279건, 1월 1,868건, 2월 1,577건, 3월 1,788건... 3개월 연속 2천건 미만인 것으로 보아 실제 거래절벽인 것도 맞습니다. 그러나 이 수치에는 매매만 포함되어 있을뿐! 전월세가 빠져있습니다. 여기에 빌라/단독주택 등 APT이외의 주거형태가 빠져있네요. 분명히 큰 폭의 감소는 맞겠으나 너무 비관적으로 보진 않았으면 합니다. 다만 뉴스 보도에서 보듯 서울에서도 매우 핫한 강남권 대표 재건축 추진 단지인 송파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zWynC/btqtYma0S3i/SZ8kSRedEkhckK6wqrRb91/img.jpg)
2018년 913 조치는 부동산에 대한 참 많은 것을 바꿔 놓았습니다. 바로 거래절벽 현상이 발생한건데요... 물론 추가적인 부동산 가격 폭등을 막긴 했지만, 이미 오른거... 문제는 거래가 늘지 않으면서 원인 분석도 한창입니다. 당시 국토부 장관이 했던 말이 기억 납니다. "이제 오르지 않을테니 갖고 있던 집 좀 파시라!" 사회 지도층 / 부유층에게 한 말이기도 한데, 막상 강남권 거래는 팍~ 줄고, 오히려 전체적인 대주택자 증여가 늘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게다가 최근 개각으로 후보에 오른 국토부 장관이 '다주택자 꼼수증여' 논란으로 하차하고 말았습니다. 이같은 방식의 부동산 증여거래가 사상 최대규모로 급증한 것으로 조사된 것이지요. 당초 정부의 다주택자 규제 목표는 주택 처분을 끌어내 공급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gTuzu/btqtSx4RBBC/b3Ky0btWAxdp15EnDE82aK/img.jpg)
부동산 주택 시장... 언제부턴가 아파트가 중심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단독주택의 삶은 참으로 즐겁습니다. 사람이 땅을 밟고 살아야 하잖아요? 계속 APT 이야기만 나오지만 은근 소외된 느낌이 드는데, 최근 아파트가 위축된 사이 단독주택과 빌라가 소소하게 회복 신호를 내고 있다고 합니다. 팍~ 아파트값이 올라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단독주택과 빌라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지요. 매매량 매매가 모두 상향세라고 하네요. 제가 단독(다가구) 주택에 거주하고 있는데, 살기 좋습니다. 내땅을 밟을 수 있구요, 공간활용이 꽤 넓습니다. 멍멍이 쉬도 누이고 ^^ 그래서 저는 가급적 주택시장에도 눈여겨보라고 말씀드립니다. 빌라의 경우는 정말 저렴하지 않나요? 특히 서울집값은 천정이라고 하는데 빌라는 방3개가 1억부터 골..
요즘 부동산 경기가 이렇다 저렇다 말이 많습니다. 그러나 IMF가 다시 왔으면! 혹은 2008년 금융위기가 한번 더 있었으면! 할 정도로 누군가에게는 기회였습니다. 멀리 갈 것도 없습니다. 2012년에는 하우스푸어라는 말이 유행했었지요? 그때 APT값이 폭락을 했는데, 그때 사둘껄! 따라서 위기와 기회는 늘 공존합니다. 요즘 서울시에서 GTX (수도권광역급행철도) 노선에 대한 추진이 언론지상에 오르내리고 있는데, 한곳 숨겨진 곳이 있습니다. 지금도 참 괜찮은 투자 지역이 있어서 저도 관심을 많이 갖고 지켜보는 중인 곳이 한 곳 있습니다. 바로 서부광역철도 주변 수익형 부동산입니다. 흔히 역세권 불패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APT / 빌딩 분양시 1st로 사용하는 말이고, 실제로 역세권이 실패한 사례도 찾..
여러분.... 혹시 춘천 레고랜드에 대해서 들어보셨나요? 디즈니랜드에 버금가는 아이들 꿈의 동산이라고 합니다. 2021년 7월 개장을 목표로 공사를 진행하려고 하고 있어요. 위치는 춘천 중도섬이며, 이를 위해 800억원을 들여서 춘천대교가 건설되었지요. 실제로 성황이 되면 다리는 늘 러시아워가 될 듯 합니다. 그런데 과연 레고랜드가 성공할 수 있을까? 하지만 정말 사람들이 고대하는 놀이동산인가? 의심이 가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저도 말레이지아, 나고야 레고랜드를 몇번 검색해보았는데... 관광지로 그다지~~~ 거든요? 주변상권이 발전했다는 이야기도 들을 수가 없었구요. 아뭏든 우리나라 강원도 춘천에 몇차례의 시행착오끝에 건설이 확정되었으나 또 다시 시련에 부딪혔다고 합니다. 심지어 임시공사 선정, 개장 ..
2018 수도권 APT값 폭등의 원인은 입소문도 한몫 했었습니다. 어디가 오른다더라... 어디에서 얼마에 팔렸다더라... 특히 APT는 공동세대이고 옆집의 인상 가격이 바로 시장가격이 되어버립니다. 실제 5억짜리가 7억이 되고, 7억짜리 아파트가 10억으로 올랐지요. 이면에는 부동산 거래신고 (실거래가) 신고기간이 60일이 있는데, 이 기간중에 부풀려진 경향이 실제 있습니다. 거래하고 바로 신고를 하면 드러나지만, 60일간 꼭꼭!! 감춰져 있다보니 믿을 수 밖에요. 언론에서는 더구나 속보에 민감하니 이를 받아적게 됩니다. 이러한 부작용을 개선하고자 여당에서 부동산 실거래 신고 기한을 기존 60일에서 30일로 축소하는 것으로 의견이 모아졌다고 합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작년 집값 급상승 시기에 몇몇 ..